
11월이 되면 김장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추운 겨울을 대비해 가족이 함께 모여 김치를 담그는 일은 한국인의 가장 큰 연례행사 중 하나죠.
하지만 해마다 김장 준비는 쉽지 않습니다. 배추, 고춧가루, 젓갈, 마늘, 생강 등 준비할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김장철을 앞두고 미리 알아두면 좋은 준비 요령과 재료 보관 팁을 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
김장철은 지역과 기온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1월 중순~12월 초**가 가장 적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기온이 4~6℃로 낮아 김치가 천천히 발효되고, 맛이 깊어집니다.
특히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기 전에 김장을 하면 배추의 아삭함이 유지되고, 저장 기간도 길어집니다. 기상청의 김장 기온 권장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 | 적정 김장 시기 | 평균 기온 |
|---|---|---|
| 서울·경기 | 11월 중순~11월 말 | 4~6℃ |
| 강원·충청 | 11월 초~중순 | 2~5℃ |
| 전라·경상 | 11월 말~12월 초 | 6~8℃ |
| 제주 | 12월 초~중순 | 8~10℃ |
따라서, 김장을 계획할 때는 주말의 날씨 예보를 미리 확인하고, 바람이 적고 맑은 날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장에는 생각보다 많은 재료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기본 재료와 준비 도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입니다.
| 구분 | 필수 항목 | 추가 팁 |
|---|---|---|
| 채소류 | 배추, 무, 쪽파, 갓 | 배추는 단단하고 잎이 노랗게 찬 것을 고르기 |
| 양념류 | 고춧가루, 마늘, 생강, 새우젓, 멸치액젓 | 염도가 너무 높은 젓갈은 희석해서 사용 |
| 보조재료 | 찹쌀풀, 배, 사과, 양파 | 자연 단맛을 더해 김치의 감칠맛을 높임 |
| 도구 | 김장통, 고무장갑, 큰 대야, 절임통 | 스테인리스보다 김치전용 통이 발효에 유리 |
요즘은 절임배추를 주문해서 사용하는 가정이 많습니다. 이 경우 양념 재료와 보관 통만 미리 준비하면 훨씬 수월하게 김장을 할 수 있습니다.






좋은 절임배추를 고르는 것이 김장의 반입니다. 절임 상태가 일정하고, 배추가 너무 무르지 않으며 짠맛이 적당해야 합니다.
✅ 절임배추 고르기 기준
- 배추 잎이 단단하고 속이 노랗게 찬 것
- 절임 염도 2~3%로 너무 짜지 않은 것
- 배추 잎이 고르게 절여져 속까지 부드러운 것
절임배추를 바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장 5℃ 이하로 보관하고, 사용 전에는 흐르는 물에 한두 번 헹군 뒤 물기를 3~4시간 빼야 합니다.






김치 양념의 맛은 가정마다 다르지만, 기본 비율만 잘 맞추면 실패할 확률이 낮습니다. 아래는 전통 방식의 기본 김장 양념 비율입니다.
| 재료 | 기준량 (배추 10포기 기준) | 비고 |
|---|---|---|
| 고춧가루 | 5컵 | 맵기 조절은 개인 입맛에 맞게 |
| 새우젓 | 1컵 | 감칠맛과 저장력 향상 |
| 멸치액젓 | 1컵 반 | 짠맛과 풍미를 더함 |
| 마늘 | 1컵 (다진 것) | 항균작용으로 김치 변질 방지 |
| 생강 | 2큰술 | 잡내 제거 |
| 찹쌀풀 | 1컵 | 양념이 잘 붙고 맛이 부드러워짐 |
| 배·사과즙 | 1컵 | 단맛과 향을 자연스럽게 보완 |
양념은 가능한 한 김장 하루 전날 미리 만들어 숙성시키면 재료의 맛이 더 잘 어우러집니다.






김장을 담글 때는 무엇보다 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특히 손, 도구, 통의 청결 상태에 따라 김치의 저장 기간이 달라집니다.
✅ 위생 관리 팁
- 김장 전날 김장통을 끓는 물로 소독
- 고무장갑은 매년 새것으로 교체
- 사용한 도마·칼은 중성세제로 세척 후 식초로 헹구기
또한 김장 당일에는 음식물 찌꺼기나 잔여물들이 남지 않도록 수시로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김치의 첫인상은 ‘청결함’에서 시작됩니다.






김장 후에는 보관 온도가 맛을 좌우합니다. 김치는 발효식품이기 때문에 너무 따뜻하면 금방 시어지고, 너무 차가우면 숙성이 늦어집니다.
✅ 보관 요령
- 김치 냉장고 온도는 1~2℃ 유지
- 숙성 초기는 5~7일간 3~5℃에서 1차 발효 진행
- 이후 0~2℃에서 장기 저장
김치통은 가능하면 한 번에 꺼내기보다 필요한 양만 덜어 쓰는 것이 좋습니다. 산소에 닿을수록 발효가 빨라지고 맛이 변하기 때문이죠.






| 항목 | 추천 팁 |
|---|---|
| 시기 | 11월 중순~12월 초, 기온 4~6℃일 때 |
| 절임배추 | 염도 2~3%, 물기 제거 후 바로 사용 |
| 양념 | 찹쌀풀+젓갈+배즙으로 감칠맛 강화 |
| 보관 | 1~2℃ 김치냉장고, 밀폐 상태로 저장 |
| 위생 | 손·기구 소독 철저, 통은 끓는 물로 세척 |
✅ 마무리: 김장은 단순한 음식 준비를 넘어 가족이 함께하는 전통문화이자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의식’입니다. 올해는 날씨와 재료 상태를 잘 확인하고, 깨끗하게 준비하여 맛있고 건강한 김치를 담가보세요! 온 가족이 함께 웃으며 김장을 하는 그 순간이 가장 따뜻한 추억이 될 거예요. 🥬❤️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점자의 날(점자의 역사와 의미) (0) | 2025.10.27 |
|---|---|
| 김치냉장고의 필요성과 올바른 김치 보관법 (0) | 2025.10.27 |
|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 동결 (0) | 2025.10.23 |
| 조용필 인천 콘서트& 위대한탄생 전국 투어 콘서트 📣 (0) | 2025.10.22 |
| 화담숲 예약(성수기 단풍철 예약 전략) (0) | 2025.10.21 |